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깃
- 파워포인트
- office
- Excel
- html
- 오피스
- VBA
- 윈도우10
- python
- 파이썬
- Windows10
- pyqt5
- python3
- Android
- pythongui
- Outlook
- 파이썬3
- pandas
- 엑셀
- win32com
- matlab
- 비주얼베이직
- windows
- git
- 파이썬GUI
- 윈도우11
- Windows11
- 아웃룩
- 문자열
- 안드로이드
목록IT_OS_ETC../[OS]Linux(Ubuntu,MintOS) (7)
Appia의 IT세상

리눅스[Linux] 우분투[Ubuntu]에 크롬(Chrome) 설치 하기 현재 우분투[Ubuntu]의 기본 인터넷 브라우저는 파이어폭스(Firefox) 브라우저 입니다. 실제 많은 사용자들에게는 구글의 크롬(Chrome)또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익숙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Windows]와 리눅스[Linux]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우분투[Ubuntu]에 크롭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다음 링크를 이용하여 크롬(Chrome)을 다운 받을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www.google.com/intl/ko/chrome/ Chrome 웹브라우저 더욱 스마트해진 Google로 더 심플하고 안전하..

리눅스[Linux] 우분투[Ubuntu]에 고정(Static) 아이피(IP) 설정하기 이번 포스팅은 네트워크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상당수 많은 분들은 자동 아이피 즉 중간에 Router등에서 DHCP로 IP로 자동으로 할당을 해줍니다. 하지만, 특정 경우 각 고정(Static) 아이피(IP) 설정하는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우측 상단에 전원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Wired Settings] 부분을 클릭해 주시길 바랍니다. 설정메뉴에서 Wired 부분에서 설정 모양의 다음과 다음 그림의 빨간 상자의 아이콘 부분을 클릭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세부 설정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에서 세부 설정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리눅스[Linux] 우분투[Ubuntu] 업그레이드 하기, update와 upgrade의 차이 이번 포스팅은 우분투[Ubuntu]을 잘 사용하기 위해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분투[ubunut]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 흔히 많이 사용하는 update와 upgrade의 차이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pt-get update vs apt-get upgrade의 차이 실제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위의 두 명령어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잘 모르고, 그냥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먼저 위의 두 명령어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 확인을 해보고자 합니다. apt-get update 현재 사용 가능한 패키지와 그 버전에 대해서 리스트를..

리눅스[Linux] 우분투[Ubuntu] 컴퓨터 이름/호스트(host) 이름 확인하기, 변경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Ubuntu]의 흔히들 호스트(Host)이름이라고 하는 컴퓨터의 이름에 대해서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크게 메뉴에서 변경하는 방법과 터미널(Terminal)상에서 변경하는 방법, 이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서 호스트(Host)이름/컴퓨터 이름을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 우선 가장 우측 모양의 버튼을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Settings] 부분을 클릭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여기에서 저의 경우 이전에 기록이 남아 있어 바로 상위 메뉴로 되어 있지만, 대부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리눅스[Linux] 우분투[Ubuntu] 현재 사용하고 있는 버전(Version) 확인하기 이번에는 우분투[Ubuntu]를 사용할 경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크게 2가지 형태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먼저, 터미널[Terminal]에서 커맨드(Command)로 확인하는 방법과 GUI기반에서 메뉴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확인을 해보고자 합니다. 1. 터미널[Terminal]에서 커맨드(Command)로 확인하는 방법 먼저 메뉴에서 터미널[Terminal]을 실행하셔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화면에서 좌측 상단에 보이는 [Activities]부분을 클릭해 주셔야 합니다. 그런 후에 상단에 "Terminal"부분을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그런 다음과 같이 아이콘이..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 설치 관련해서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리눅스는 크게 데비안(Debian) 계열과 레드핫(Redhat)계열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서로 기본적인 리눅스의 컨셉을 같을 수 있더라도 일정 부분 차이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예전에는 Fedora(레드핫 계열)/ Ubuntu(데비안 계열)을 가지고 테스트를 많이 했었는데, 요새는 우분투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ubuntu)를 VMWare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당 홈페이지에서 Ubuntu를 다운로드 하셔야 합니다. 우분투는 무상으로 제공됩니다. 다음 링크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VMware에서 Ubunt 설치시, AMD-V is disabled 에러 해결 방법 (SVM Mode enable/활성화) 최근에 VMWware를 이용하여 저의 PC의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를 진행할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VMWare를 설치하고 Ubuntu 이미지를 다운받았습니다. 그래서 VMWare에서 이미지를 추가하여 진행하려고 하던 순간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타났습니다. "Error while powering on: This host supports AMD-V, but AMD-V is disabled." 에러 구문 : Error while powering on: This host supports AMD-V, but AMD-V is disabled. AMD-V might be disabled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