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안드로이드
- Excel
- pandas
- 윈도우10
- pyqt5
- Android
- 깃
- win32com
- 파이썬3
- 비주얼베이직
- 파이썬GUI
- python3
- 문자열
- git
- VBA
- 파이썬
- Windows10
- matlab
- Windows11
- html
- windows
- 파워포인트
- 윈도우11
- 아웃룩
- 엑셀
- 오피스
- Outlook
- office
- pythongui
목록분류 전체보기 (818)
Appia의 IT세상

CAN에서는 Multiplexing이라는 부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분들이 혼란 스럽고 때론 이 부분을 아예 무시해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오늘은 Multiplexing될 때 어떻게 CAN이 동작하는지, 간단하게 이야기를 드리고 합니다. 먼저, 가장 간단하게 이야기를 하면, message에는 signal들이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multiplexing 되는 부분이라면, multiplex value 에 따라서 해당되는 signal들만 전송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림으로 간단히 이야기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그림에 따라 Message가 구성되는 부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즉 위의 그림과 같이 Multiplexor의 값에 따라 구성하는 Signal의 값이 ..
이번 포스팅은 기존에 포스팅 했던 변수 대입에 관련해서 Container 타입의 언패킹(Unpacking)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먼저, Container 타입이란 무엇일까요? Container 타입이란,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등과 같이 여러 개의 값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 타입을 의미합니다. 즉. 순환 가능한 모든 객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 Container 타입은 아니지만, 유사하게 문자열, 파일, 이터레이터, 제너레이터가 포함) 먼저 간단히 변수 대입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1 위와 같이 간단히 하나의 식에 대해서 대입할 때는 많은 생각이 필요 없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Num = [0,1,2,3,4,5] A1 = Num[0] A2 = Num..

저 번 포스팅에서는 DBC 파일의 Message / Signal등을 Parsing하는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포스팅을 하던 차에는 생각치 못했던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주석 즉 Commnet에 대한 파싱 부분을 누락했던 것입니다. 파이썬[Python] Project01-02 DBC_Base Message/Siganl Class 파이썬[Python] Project01-02 DBC_Base Message/Siganl Class 앞서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DBC_Base부분으로 구성을 해볼까 합니다. DBC 파일을 읽어와서, Message, Signal 부분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부분으로 구성이 됩니다.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appia.tist..

앞서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DBC_Base부분으로 구성을 해볼까 합니다. DBC 파일을 읽어와서, Message, Signal 부분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부분으로 구성이 됩니다.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집니다. 그럼 먼저 Class 구성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각 부분에 대해서 Class를 만들어서 할 것인지 아니면, Message Class를 생성하고, Signal 부분은 Dictionary 형태로 저장할 것인지 고민했습니다. 저의 코드에서는 후자를 선택하기로 했습니다. 메시지 클래스 먼저, CAN Message를 저장하기 위한 Class를 살펴 보겠습니다. class Msg : def __init__(self,data): data.replace('\n','..
저번 포스팅에서 CAN DBC Message/Signal 구조에 대해서 포스팅 한적이 있습니다. 물론 Python에서 관련 모듈이 존재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Cantools라는 모듈입니다. 하지만, 제 입맛대로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 정의를 하고자 합니다. 불러오는 중입니다... 이번 관련 포스팅은 크게 별도의 Numbering 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총 4화에 걸쳐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파이썬[Python] Project01-01 CAN DBC Loader/Writer 개요 파이썬[Python] Project01-02 CAN DBC Base 구조 및 코드 리뷰 파이썬[Python] Project01-03 CAN DBC Loader 구조 및 코드 리뷰 파이썬[Python] Project01-04 CAN..
오늘은 dbc파일 구조에 대해서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아마도 이 형태로 검색을 하셨거나,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을 아마도 CAN통신에 대해서 어느정도는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혹, CAN통신에 익숙하지 않으시거나, 처음이신 분들을 위해서 향후 관련해서 별도 포스팅 계획중) 일단 dbc 파일은 CAN통신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베이스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즉, 통신에 사용되는 siganl 부터 각 노드에 대한 정보까지 모두 기술 되어 있습니다. 물론 제가 이 포스팅을 하는 이유는, dbc 에디터 및 로더를 만들 생각입니다. 하지만, 이 구조를 모른다면 향후 올리는 포스팅에 대해서 이해하기가 힘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많은 분들은 벡터사에서 나온 CANdb++등..
이번 포스팅은 저번에 포스팅 했던 부분에 있어서 계산기 관련해서 이벤트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포스팅을 구성했습니다. 물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해서 파일 첨부도 진행 예정입니다. 물론, 받아 사용하시는 분들이 조금 더 생각하실 수 있게, 저의 코드는 한자리 수만 지원하도록 했습니다. 크게 3가지 부분으로 이벤트를 정리 했습니다. 첫 번재는 C버튼을 이용하여, 초기화 하는 방법입니다. 다음 부분을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계산기 초기화 다음 코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S_Var1는 계산기의 Entry부분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def ClearNum(): global FC global V1 V1 = None FC = None S_Var1.set("") 계산기 출력부 숫자를 입력하면, 그..

이번 포스팅은 기존에 포스팅 했던 tkinter를 기반으로 계산기를 만들고자 합니다. 대학교 때에,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계산기를 만들었던 기억이 많이 남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파이썬[Python] tkinter 모듈을 이용한 계산기를 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제가 생각한 계산기의 밑그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각 숫자들과 연산들은 버튼으로 만들 것입니다. 그리고, 각 숫자 및 연산을 표시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Entry를 이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칸과 열을 맞추기 위해서 grid()형태로 이용할 예정입니다. 그럼 일단 코딩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rom tkinter import * top = Tk() def ClearNum(): pass # 1번째 열 S_Var1 = StringVa..
이번 포스팅은 파일 입출력과 매우 연관이 있는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크게 2가지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우선, 현재 디렉토리(Directory) 확인 및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또한, 관련해서 절대Path 및 상대 Path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디렉토리(Directory) 확인 방법 우선 현재 디렉토리(Directory)에 대해서 확인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우선 관련해서 os 모듈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os모듈 중 getcwd()를 사용해야 합니다. import os print(os.getcwd())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현재 디렉토리(Director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올..
오늘은 time 모듈의 바탕으로 날짜와 시간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종종 작업을 하다 날짜와 시간에 대해 명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를 들면 로그 파일을 만들때, 파일명 또는 각 동작에 대해서 시간 날짜등을 명시해주곤 합니다. 또한 각 함수에 대해 실행 시간을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합니다. 이러한 날짜와 시간을 출력하는 기능은 생각보다 매우 활용도가 높고,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날짜와 시간을 출력하는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주로 파이썬[Python]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time 모듈을 통해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import time 그럼 몇가지 메소드부터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ime.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