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ffice
- 파워포인트
- windows
- 안드로이드
- 문자열
- Windows10
- 오피스
- 엑셀
- 윈도우11
- VBA
- html
- Excel
- 아웃룩
- pythongui
- python3
- 파이썬3
- Android
- 윈도우10
- 깃
- 비주얼베이직
- Windows11
- 파이썬
- matlab
- win32com
- pyqt5
- 파이썬GUI
- git
- python
- Outlook
- pandas
목록Python/Python 기본 (82)
Appia의 IT세상
오늘은 객체지향의 꽃인 클래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Python]은 객체 지향성(Obeject Oriented Programming) 언어입니다. 즉, 기본적인 속성 및 특성들에 대해서 정의 해두고, 이를 바탕으로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물론 무엇이든지 과하면 못하다는 과유불급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즉, 모든 부분에서 클래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실제 객체의 특성들이 동일한 부분에 적용하기 좋습니다만, 그 밖에서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일단 먼저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class ClassName: 'Optional class documentation string' 실제 상위 부분에서는 클래스에..
오늘은 예외처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예외처리라는 것은 말 그래도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의 의도와 다르게 프로그래밍이 동작했을 경우를 대비하여 관련하여 문제 상황에 따른 동작등을 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 하는 것입니다. 작업을 하다 보면 모든 불규칙한 상황과 예상치 못한 입력등에 프로그램등이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도 그런 예가 있습니다. 예전에 엑셀을 있는 데이터(인터페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소스 코드를 생성하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한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특정 칸에 데이터가 들어가 있지 않았고, 관련하여 입력값이 None Type이 되어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 문에 대한 예외 처리 등을 하지 않았고, 그 상황에 대해서 확인..
모든 프로그래밍을 하면, 관련해서 결과물을 얻기를 바랍니다. 즉, 콘솔 창에 코딩에 대한 결과를 원하든 아니면, 파일로 관련해서 결과를 원하던, 어떤 형태로든 결과가 출력 되길 원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파일 입출력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저의 경우 파일 입출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우는 로그 파일을 만드는 경우입니다. 즉, 외부 데이터를 파싱하여 특정 액션을 실행하는 데 관련하여 로그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저의 의도에 따라 동작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기능입니다. 파이썬[Python]에서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쓸 때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동작하게 됩니다. 파일 로딩 -> 액션 -> 파일 닫기 실제 새로 파일을 만들더라도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 ..
앞서서 함수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모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설명에 앞서, 혹 2000줄이 넘는 코드를 한 소스 파일에 넣는다면, 혹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 또는 수정하고자 하는 항목을 찾기가 쉬울까요? 아마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하여 코드를 정리 하기 위해서 모듈이라는 별도의 파이썬 파일을 이용하여 정리할 수 있습니다. 모듈은 함수, 클래스 , 변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관련해서 간단하게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example.py로 구성됩니다. def addf( par ): print ( par ) return 외부 모듈을 불러올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합니다. import module1 위의 내용으로 구성된 example.py를 불러오기 해보겠습니..
함수를 가장 쉽게 표현 하자면, 재사용 하기 위한 기능을 정리하여 향후 재탕하는 코드라고 저는 표현합니다. 물론, 어느 정도 언어적인 거침이 섞이기 했습니다. 주로 흔히 C언어를 많이 하셨던 분들이라면 함수라는 단어를 듣자마자, 바로 C 언어가 바로 떠올랐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좀더 순화해서 풀어서 이야기 해보면, 함수는 일정 기능 및 코드에 대해서 묶어서 재사용하기 위한 부분입니다. 함수를 생성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f functionName(Argument): "funcion description" function_contents return [expression] def라는 키워드를 이용하고, 그 다음에 함수의 이름을 나열합니다. 그리고 인자가 값이 있으면 () 안에 인자값을 넣어주시..
앞서 시간에서는 리스트(List)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오늘은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지만 살짝 다른 튜플(Tuple)과 파이썬[Python]에서 가장 특이한 데이터 타입중 하나인 딕셔너리(Dictionary)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튜플(Tuple)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튜플(Tuple)은 앞서서 살펴본 리스트(List)와 가장 유사합니다. 한가지 차이점이 있다면 튜플(Tuple)은 변경이 불가 합니다. 튜플(Tuple)은 생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생성하게 됩니다. TupleName = (Member1, Member2,...,MemberN) 즉 ( ) 에서 이용하여 위와 같이 튜플(Tuple)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튜플(Tuple)도 리스트(List)와 비슷한 방..
리스트(List) 리스트(list)는 파이썬[Pytho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저 또한 리스트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앞서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리스트(List) 생성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습니다. 저는 파일 입출력 및 엑셀 정보등을 읽어올 때 모든 데이터를 리스트로 옮겨놓고 파일을 닫아 버리는 습관이 있어서, 리스트(List)에 대한 애착이 강한 편입니다. 오늘은 이 리스트(List)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리스트 생성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ListName = [Member1, Member2, Member3, … MemberN] 그럼 다음과 같이 예시를 보면서 각 리스트(List)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
문자열(String) 오늘은 파이썬[Python]의 문자열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저는 실제 작업에서 문자열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파이썬[Python]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Parsing이라던지 아니면 문자열에 대한 값을 바탕으로 다른 작업을 해야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문자열에 대해서 간단히 한번 살펴 볼 예정입니다. 우선 문자열에 관련된 변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 " 또는 ' ' 안에 문자들을 넣어서 문자열로 된 변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변수 이름 = ' 내용 ' 변수 이름 = " 내용 " 다음과 같은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간단히 예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tr1 = 'Hello Appia' str2 = "Python" 그럼 이..

분기문(조건문) 흔히들 갈림길 또는 조건에 의해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다 특정 조건에서만 실행되는 명령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조건이 부합할 때, 부합하지 않을 때, 각각 동작을 달리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분기는 주로 이러한 경우 조건에 의해서 특정 동작만 실행하거나 아니면, 조건의 참, 거짓에 따라 각기 다른 동작을 할 때 나타냅니다. 물론 앞서 Stateflow 포스팅에 사용했던 부분입니다. 즉 조건에 의해서 실행 하는 부분과 실행되지 않게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f 문 if문 쓰일 경우 특정 조건에서 실행되는 동작이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특정 조건이 True일 때 Action이 실행되는 ..

오늘은 3번째 시간입니다. 앞서서 저는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분기와 반복에 관련된 부분을 할려고 했는데, 그전에 기본 연산자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한 기본 연산자에 대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그러면서 앞서 포스팅에서 살짝 누락된 형변환(Type casting)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연산 연산자 수학 연산에 관련되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산자 기능 연산자 기능 연산자 기능 연산자 기능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나머지 구하기 ** 제곱승 // 나눗셈 결과를 정수로 받기 그럼 연산 연산자에 대한 간단한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a = 2 >>> b = 10 >>> a+b #덧셈 12 >>> a-b #뺄셈 -8 >>>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