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엑셀
- 파이썬GUI
- office
- 파이썬
- Excel
- matlab
- 윈도우11
- 문자열
- VBA
- python
- windows
- win32com
- 안드로이드
- Windows11
- 파이썬3
- 오피스
- Outlook
- 파워포인트
- 비주얼베이직
- pandas
- pyqt5
- git
- python3
- html
- 깃
- 윈도우10
- Windows10
- pythongui
- Android
- 아웃룩
목록String (12)
Appia의 IT세상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Regexp] 004 - 특정 문자의 수량을 나타내는 수량자 앞서 포스팅에서는 특정 문자의 범위를 선택하거나, 특정 문자의 범위를 주고, 그 중에 포함되는 문자들을 선별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같은 함꼐 부분과 많이 사용되는 정규표현식의 수량자에 대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제 짧은 생각으로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Regexp]을 사용하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수량자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수량자는 말 그래도, 수량을 표현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특수한 문자입니다. 그럼 각 수량자들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Regexp] 003 -..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Regexp] 000 - 정규 표현식 기본 / 테스트할 수 있는 사이트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규 표현식에 대해서 간단히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Regexp]의 의미 사전적으로는, 정규 표현식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언어입니다. 즉, 간단하게 특정한 패턴을 표현하기 위해 특정한 표준의 문법들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실질적인 방법에서는 가장 간단하게, 특정 문자열에서 원하는 패턴을 가지는 문자들을 선별하거나, 관련 문자들을 가지고 데이터를 활용해야할 때 위와 같은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Regexp]이 사용이 됩니다. 그래서 몇번의..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VBA) 문자열 반대로 뒤집기, 문자 반복하기(StrReverse, String ) 앞선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을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을 반대로 뒤집는 방법과 문자열을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부분들은 그리 크게 사용되지 않지만 그래도 종종 사용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각각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질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trReverse 문자열을 뒤집는 함수입니다. Ex) 적용 전 A B C D 적용 후 D C B A 2. String 문자을 반복하는 함수입니다. 그럼 위의 함수들에 대해서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1. StrReverse 위의 StrRev..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VBA) 두 문자열 비교하기 (StrComp) 앞서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에서 공백을 채우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문자열을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연산자에서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도 괜찮지만, 비주얼 베이직에서 제공하는 문자열 함수를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다음과 같이 포스팅을 진행해봅니다.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 VBA)에서는 문자열을 비교할 수 있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제공합니다. StrComp(문자열1, 문자열2) 위와 같이 문자열 두개를 StrComp의 파라미터로 입력하면, 총 두가지 값을 반환합니다. 만약 문자열1, 문자열2이 동일하면 1이 나..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VBA) 문자열의 특정 문자을 다른 문자로 바꾸기(Replace) 이번 앞서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의 좌우 공백을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주얼 베이직 뿐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문자열 속에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관련해서는 Replace라는 함수로 특정 문자를 원하는 문자로 변경을 할 수 가 있습니다. 그럼 관련해서 간단한 함수 사용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place(기준 문자열,변경 대상 문자,변경되어야 할 문자, (선택)검색 시작 위치, (선택)변환횟수, (선택)Compare 파라미터에 대한 설명 기준 문자열 전체 문자열입니다. 즉, 변경 대상 문자를 ..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VBA) 문자열의 문자 갯수 세기, 문자열의 크기 확인하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문자열 안에서 특정 부분만 출력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의 갯수를 세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관련해서는 비주얼 베이직(VBA)에서 관련함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다음 함수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Len 문자열의 크기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이 때는 공백 또한 포함해서 갯수를 확인합니다. 그럼 다음 예시를 보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1234567891011Private Sub Len_Example() Dim var1 As String Dim var2 As String var1 = "Hello Apppia" MsgBox ..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VBA) 문자열의 모든 문자 대문자로, 소문자로 변환하기(LCase, UCase) 문자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때, 한글에서는 그리 크게 적용되지 않지만, 영어에서는 대소문자에 대한 구별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는 방법(LCase)와 대문자로 바꾸는 방법(UCase)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먼저 이번 포스팅에서 주로 다룰 함수는 다음과 같이 2가지 함수입니다. 1. LCase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는 함수 2. UCase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는 함수 이와 같이 두 함수에 대해서 예시와 함께 더 살펴보도록 하게습니다. 1. LCase 위의 LCase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과 문법..

비주얼베이직(Visual Basic, VBA) 문자열내에 특정 문자의 위치 확인하기 (InStr, InstrRev) 이번 포스팅 주요 내용을 다루기 전에 문자열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문자열이란 흔히 알다시피, 여러 문자들의 연속해서 나타내는 것들로, 숫자가 문자, 또는 특수 문자로 될 수 있습니다. 흔히들 알다 시피 따옴표(" ") 사이에서 문자열에 대해서 표시를 합니다. 이와 같이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가 포함되는지에 대해서 대해서 확인하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이 2가지 함수로 사전에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1. InStr 특정 문자가 있는지 확인하여 몇 번째 글자인지 확인합니다. (좌에서 우 방향으로 검색합니다.) 2. InstrRev 특정 문자가 있는지 ..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파이썬[Python]으로 가장 좋은 활용방안등을 찾아본다면 단연 문자열 파싱 또는 로그 출력등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물론 개인적인 업무 범위가 어느정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다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자 요구사항으로 처리된 데이터 항목, 문제가 있는 데이터 항목등에 대해서 명기하고 관련해서 기록으로 남겨야 합니다. 당연시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로그 정보 쓰는데에 많이 익숙한편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이와 같이 로그 정보등에서 활용 가능한 문자열 템플릿 생성하고 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의 문자열 템플릿(string Template)은 주로 stiring 모듈..
이번 포스팅은 문자열에 대해서 간단히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문자열을 사용하면 가장 많이 부분이 무엇일까 고민해봤습니다. 바로 문자열 나누기, 문자열 합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부분은 문자열을 받아 들이는 이유는 Parsing 하고 필요한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Parsing해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야 합니다. 그럼 문자열을 나누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다음과 같은 함수를 이용합니다. split(Data,maxsplit) Data - 문자열 maxsplit - 나누고자 하는 횟수 (선택 사항입니다. 만약 미입력시, 전체를 나눌 수 있는 만큼 나눕니다.) 그럼 다음 예제를 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 123Example_String = "Hello Appia for th..